반응형
2025년 8월부터 가족간의 이체금액이 일정금액 넘거나 자주 발생하면 세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세법 개정에 따라 단순 이체도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용돈이나, 긴급 자금으로 아무생각없이 보내준 생활비로 세금폭탄을 맞을 수 있으니 꼭 아래 내용 확인 후 이체를 하셔야 세금 증가의 원인을 막을 수 있습니다.
가족간 이체 금액 증여세 기준
국세청은 2025년 8월 부터 가족 간 계좌 이체가 연간 100만원을 초과할 경우, 증여세 검토 대상으로 자동 분류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실시간 감시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단순 이체도 자주 거래되거나 금액이 크면 추적 되상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표는 가족가 거래의 증여세 기준입니다.
증여세면제 한도는 어떻게 되나?
대삼 | 증여세 한도 금액 |
배우자 | 6억 원 |
성년 자녀 | 5천만원 |
미성년 자녀 | 2천만 원 |
부모에게 받은 경우 | 5천만 원 |
형제, 며느리, 사위 등 | 1천만원 |
위 금액이 초과되어 이체 시 증여대 대상이 됩니다.
증여세는 10년간 누적 금액이기 때문에, 매년 조금씩 보내더라도 10년가 누적 금액이 초과되면 부과 대상이 됩니다.
생활비, 교육비, 병원비 등은 비과세 대상이므로, 반드시 증빙서류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증빙서류 종류
- 이체 메모
- 문자
- 영수증 등
가족간의 금전거래가 꼭 필요한 경우 금액 범위와 횟수를 잘 살펴보시고, 세금의 불이익이 없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추가 5만원 지역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과 지급일이 다가왔습니다. 조금이라도 더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다면 꼭 챙겨야 겠죠. 전국민 15만원 이외에 추가로 5만원을 더 지급받는 지역 정보에 대해 정리해 드립
alex417.com
반응형